깊이 파는 UX 디자이너


깊이 파는 UX 디자이너 : 전문가형 UX 디자이너


깊이 파는 UX 디자이너는 말 그대로 소수의 전문분야에 대한 높은 집중력과 전문성으로 UX를 하는 유형.

대부분 시각적인 전문성을 바탕으로 일하며, 최근 그 영역도 점점 세분화되는 패턴을 보인다.


이들은 대부분 전문성을 기반으로 일하기 때문에 디테일에 강하다. 결과물의 완성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하지만 단점이라고 한다면 각각 전문영역에 대한 집중력이 너무 높다 보니 다른 전문성을 지닌 동료들과 협업이 

잘 안된다는 점이다. 개발자와 디자이너 간 소통 문제가 대표적인 예인데, 서로 각자의 관점에서 이야기하다 보니

소통의 문제가 야기된다. 


넓게 보는 UX 디자이너


넓게 보는 UX 디자이너 : 매니저형 UX 디자이너


넓게 파는 UX 디자이너는 다양한 영역에 향한 관심을 기반으로 일하는 유형. 한 가지 영역에 만족하기보다는 계속

새로운 영역에서 오는 자극을 즐기며 본인의 분야를 넓혀간다. 한국은 스타트업계에 이런 유형의 인재가 많은 것 같고,

다양성 교육이 보편화된 미국 혹은 유럽에서도 이런 사람들이 나온다.


단점으로는 첫 번째, 집중력이 높지 못하다는 점이다. 한 가지 영역에 집중해 깊게 파기보다는 새로운 자극을 즐기는 유형이다 보니 자연스럽게 딱히 이렇다 할 한 가지 전문성을 찾기가 힘들 수 있다. 두 번째, 실제 매니저형으로 진화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는 점이다.


매니저형으로 성장하는 사람은 본인이 관심 있는 다양한 영역의 동료에게 인정받기 시작할 때 그 역량이 발휘된다. 전문가에게 인정받을 기본적인 수준 이상의 전문성은 보유해야 한다는 뜻이다. 


하지만 넓게 보는 UX 디자이너의 장점도 있는데 첫 번째, 다양한 사람과 소통하기에 조직에서 인정받기 쉽습니다. 기획자 혹은 상사와는 KPI로 소통하고, 디자이너들과는 심미적인 관점에서 소통하며, 개발자와는 시스템적 관점에서 소통할 수 있기에 상대적으로 '말이' 통하는 사람'으로 인정받는다. 두 번째, 여러 관점에서 들어오는 인풋 덕분에 창의력이 높다. 다양한 정보를 새로운 조합으로 구상하는 것만으로도 전혀 새로운 무언가 나올 수 있다. '넓게 보는 UX 디자이너'는 종종 아이디어가 많다고 인정받는다.



나는 어떤 디자이너일까


본인의 개성과 관점을 기반으로 UX 디자이너로 성장했을 때 세상이 보지 못했던 새로운 UX가 나온다. 


다양한 덕질을 시도해보고 계속해서 성장해나갈 수 있는 시간을 갖는 것, 지금 스타트업에서 다양한 분야에 내 창의력을 쏟아내는 것이 UX 디자인 분야에서 '넓게 보는 UX 디자이너'로 성장할 수 있는 방법인 것 같다. 





원문 : https://ppss.kr/archives/113072


나를 포함한 신입 디자이너들에게 있어 '아이콘 그리기'는 하나의 미션이다. 

사수 없는 내가 '아이콘 그려보세요~'라고 지시 받은 것도 아니지만 스스로 내가 필요한 아이콘 세트쯤은 그려볼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해서 여기저기에서 아이콘 만드는 팁을 가져와보았다.


아이콘의 존재 이유


아이콘이 필요한 이유는 

-요소를 직관적으로 알아보기 쉽게 하기 위해

-이유 있는 장식 요소가 필요해서

-좁은 영역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등


아이콘을 새롭게 디자인해서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달라질 수 있다.




아이콘 사전



1. 아이콘 형식 결정하기


아이콘을 만들 때 속이 차있는 면(solid) 아이콘이 될지, 속이 비어있는 선(line) 아이콘이 될지, 두께, 단색 또는 다색 아이콘,

각지고 단단할지, 둥글둥글해질지 다양하게 고민해볼 수 있다.


색과 면, 두께, 선의 종류 등등을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맞춰 정하는 것이 우선!


2. 쓰이는 용도


아이콘을 정보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텍스트와 함께 사용할 때가 있지만 단일하게 아이콘만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함축적인 의미가 잘 부여되도록 표현해야 한다.



3. 유사 아이콘 찾아 미리보기


프로젝트에 맞는 아이콘의 스타일과 용도를 정하고 나서 아이콘을 직접 그리는 작업을 하기 전에, 그리려고 하는 아이콘을 아이콘의 개성이나 특징을 가진 유사한 아이콘이 이미 있는지 찾고 대략적으로 어떤 크기로 들어가면 좋을지 느낌을 고민한다. 




아이콘 디자인하기



아이콘을 디자인하기 앞서 몇 가지 규칙이 있다.


1. Pixel 배율 맞추기


실제 작업에 들어가기 전 아이콘 패밀리의 사이즈를 명확히 정의해야 한다. 특정 배수, 예를 들어 4, 16, 20, 24, 28, 32, 48 등으로 작업하는 것이 좋다.


디바이스별 픽셀값, 밀도 및 dp값 등등을 상세히 확인할 수 있는 구글을 이용하자!


https://design.google.com/devices/




2. Pixel 영역 맞추기


아이콘 가이드를 따로 만들어두고 아이콘



3. 시각적 크기 통일하기 


같은 크기라도 원과 사각형은 다르기 때문에 원을 사각형 크기의 1.15배로 만들어야 한다.





아이콘 만들어보기 


1. 라운드가 약간 있는 스타일

2. 각요소에 절단 포인트가 있는 스타일

3. 라인 두께는 한 가지만 사용한다.

4. 모든 아이콘의 사이즈는 영역 안에서 좌우상하 4px의 여백을 동일화 시킨다.


처음 아이콘 가이드를 만들 때 40x40px로 만들어 놓는다.

그 가이드 안에 들어가는 아이콘은 32x32px



                                                         (ai 파일로 직접 그려본 아이콘들)




아이콘 사이트



https://thenounproject.com/


https://www.iconfinder.com/


하반기 커리큘럼을 위한 탐구 시간


2018 상반기 커리큘럼 : 

스타트업 기획 단계부터 스타트업 웹사이트 구축

에펙 강의 3개월 듣고 홍보 영상 제작


2018 중반기 커리큘럼 : 

UX/UI웹디자인 3개월 듣고 웹사이트 구축1

스타트업 앱디자인

해커톤 2018

dailyui 100


2018 하반기 커리큘럼 : 

스타트업 홍보 마케팅 및 미팅

앱 디자인 강의 3개월 듣고 앱 구축1

오픈컬리지 디자인

2가지 새로운 툴 공부(인비전, 스케치)


포트폴리오

2017 작업물 스토리보드

2018 작업물 스토리보드(특히 스타트업)


개인이력서 (이동)


개인 프로젝트 : 

개인 프로젝트1

개인 프로젝트2

영상

그림


장기목표 : 

1. 일러스트 책 cocopinky /pinky 이야기

2. 2019 상반기 에이전시 이전(스타트업 실적확인 후)

3. 일본어 정복

스타트업 디자이너로 일하다보면 다양한 방법들이 필요하다.


출처 : http://www.mobiinside.com/kr/2017/01/19/andrewyhc_3_design/


이 글에서는 스타트업에서 디자이너가 아닌 문돌이가 디자이너 역할을 하기 위한 방법을 알려주고 있다.





1. CollectUI.com


3


콜렉트UI는 아까 얘기한 각 기능섹션 또는 유저태스크 별로 필요한 화면 디자인이나 인터렉션 디자인들이 잘 정리된 아카이브인데, 그 하나하나 퀄리티가 매우 뛰어나다. 예를들어서 온보딩 관련 디자인을 찾아보고 싶으면 왼쪽 사이드바에서 ‘onboarding’을 검색해 보면 해당 메뉴가 나오고 수 많은 앱들의 온보딩 화면들이 모아져 있다. 주로 아이폰 위주이긴 한데 가끔 안드로이드에 최적화된 디자인도 찾을 수 있다.




2. Behance의 Interaction Gallery



4


비핸스는 비전공자들도 많이 찾아보는 유명한 사이트가 됐지만, 이 갤러리를 아는 사람들은 드물거라 생각한다. 원래 옛날에 앱디자인갤러리 (http://www.appdesignserved.co/)라는 사이트가 비핸스에서 저런 고퀄 디자인 아트워크만 묶어서 보여줬었는데, 어도비에서 비핸스로 통합시킨 것 같다. 아무튼 전 세계의 잘나가는 디자이너들의 수려한 아트워크를 볼 수 있는 갤러리인데, 여기서 내 앱과 기능요건이 유사하거나 비슷한 분야에 있는 앱 위주로 아트워크를 찾아서 클리핑 한다.


3. 핀터레스트 검색


5


핀터레스트를 모르는 사람은 없어도 내 주변에 ‘핀터레스트 하고 있어’라고 말하는 사람은 한국에서 본 적이 없을 정도로 아직 우리나라 사람들한테는 생소한 사이트이다. 여기는 사람들이 스크랩 하고 싶은 자료들을 마치 냉장고나 칠판에 핀 꼽아서 수집해 놓듯이 모아놓는 사이트인데 역시 디자이너들이 많이 쓴다. 내가 만일 앱 온보딩 디자인을 여기서 찾고자 하면 Mobile app onboarding라고 치고, 특정 버전의 온보딩만 검색해 보고자 하면 app onboarding iOS, 또는 app onboarding android 이런 식으로 검색하면 된다.



이 외에도 초보 디자이너를 위한 방법이 공유되어있다.




디자이너라면 필수인 포트폴리오, 그 중에 브랜드 디자인, UI/UX에 관심이 생겨 찾아보던 와중에 '해외 유명 브랜드 디자이너 포트폴리오'를 담은 사이트를 보게 되었다. 하나의 작업물에도 엄청난 툴과 노력이 엿보이는 사이트인데 하나씩 보고 분석하기 위해 사이트를 공유하기로 했다.


해외 유명 브랜드 디자이너 포트폴리오

http://cofolios.com/#modal-close







이 사이트에 들어가면 

페이스북을 비롯해서 구글, 애플, 아마존 등 다양한 브랜드의 디자이너들이 남긴 포트폴리오 사이트로 넘어갈 수 있다.




매우 흥미로운 작업물들이 많아서 포트폴리오를 만들 때 참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디자인을 업으로 삼고, 내 삶의 주체가 나라는 것을 명심한다.


현실에 안주하지 말고 무엇이든지 성장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티스토리에 디자인을 주제로 한 내 블로그를 새롭게 파면서 디자인 목표, 크게는 내 인생 목표를 세우고 싶었다.




인생 목표



1. 커다란 인생 목표

디자인에 대한 두려움 극복, 디자인 전문가가 되기.


2. 10년간 목표

디자인 업무를 기획하고 진행하면서 계속해서 이직하고 실력을 쌓는 디자이너가 되기


3. 1년간 목표

Bngo 프로젝트가 마무리 되고 디자인 업무가 마무리 된다면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2019년 상반기 전으로 에이전시로 이전하기


4. 6개월 목표

-Bngo 프로젝트 및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개인 프로젝트 : 아이콘 만들기, 채식빵 사이트 만들기, 레코드 브랜드 디자인 하기, 리디자인 하기


5. 3개월 목표

-데일리 UI 100일 챌린지를 통해 UI 스스로 배워나가기

-최대한 많이 보기 많이 분석하기


6. 1개월 목표

-개인 프로젝트 1개월 단위로 만들어 비핸스와 노트폴리오에 올리기

-드리블에는 데일리로 올릴 수 있는 작업물들

-공모전에 도전하기


7. 데일리 목표

-데일리 UI 챌린지 하루에 한 개씩

-디자인 전문 서적 일주일에 한 권씩 읽고 티스토리에 남기기

-디자인 정보들 팁들 특히 툴에 관련하여 많이 보고 티스토리에 하루에 한 개씩 남기기





이외의 내 인생을 즐기기 위한 나만의 라이프스타일 만들기 +

- 직장인 모임 이주일에 한 번 이상 참여(배드민턴, 영화, 와인, 전시, 독서, 일본어, 디자인, 여행)

-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식사, 운동, 여행)

- 10월에 일본 여행 엄마랑 가기

- 내가 그리고 싶어하는 일러스트 부담없이 스트레스 받지 말고 그리기

- 일본어 한 달 3만원 투자해서 공부하기 제 2외국어는 절대로 낭비가 아니다.




내 인생의 주체는 나다. 그걸 명심하자. 내가 행복한 것, 나를 불안하게 만드는 것들로 나를 갉아먹지 않게 하자.

내가 불안한 이유는 아무것도 안하기 때문이다. 하나씩 내가 좋아하는 것들 내가 잘할 수 있는 것들을 만들자.


디자인을 업으로 얻었다면 개인 작업을 저장하고 이를 포트폴리오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티스토리를 새롭게 만들었고 내 작업물들, 공유하고 싶은 디자인 소스들, 그리고 디자인 영감에 대한 글들을 올리고자 한다.


첫 번째 나의 티스토리 글은, 우선 디자인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사이트에 대해 적을 것이다.


너무 많은 사이트가 있지만 내가 사용하고 있는 드리블, 비핸스, 노트폴리오를 손꼽아보았다.




1. 드리블 (https://dribbble.com)


가장 쉽게 올릴 수 있는 드리블, 드리블에 가입하게 되면 400*300 또는 800*600사이즈로 된 작업물을 올리게 된다. 엄청난 퀄리티의 완성된 작업물이 올라오는 비핸스보다는 상대적으로 작품을 올리는데 부담은 없다. 로고, 아이콘, 일러스트, UI등 하루에 한 개 씩 올리기에 적합한 사이트이다. 현재 데일리유아이라는 사이트로 디자인 챌린지 100일을 진행하고 있고 그 작업물을 드리블에 올리고 있다.







2. 비핸스(https://www.behance.net)


비핸스는 뭔가 고퀄이다. 하나의 작업물도 완성도가 있어야 올릴 수 있는 느낌?! 그래서 현재 비핸스에는 작업물을 하나도 올리지 못한 상황이다. 개인 프로젝트로 로고부터 시장분석 그리고 웹, 앱까지 만들어지고 난 뒤 한 개씩 올리기 시작할 것이다. 물론 현재 스타트업 회사에서 진행 중인 프로젝트도 비핸스에 올리기에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3. 노토폴리오 (https://notefolio.net)


새롭게 만들어진 한국형 비핸스, 노토폴리오이다. 지금 작업물을 3개 올려놓았지만 이곳에서도 비핸스와 마찬가지로 작업물을 조금 더 고퀄로 만들어 올릴 필요가 있다. 다양한 매거진, 스토어, 아카데미, 공모전을 공유할 수 있고 해외형보다는 국내형이라서 만약 국내 디자인 업계에 취업을 선호한다면 노트폴리오도 나쁘지 않아 보인다.






앞으로 이 세가지 플랫폼에 내 디자인 작업들이 차곡차곡 올라올 것이다.

디자인을 급하게 하지말되 많이 보면서 꾸준히 만들어 성장해보자.

+ Recent posts